십간으로 해석한 지지가 바로 지장간이다. 지지 자체는 사주체계에 맞지 않는 구조인데 육십갑자를 이루는 기본 구성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한다. 사주체계는 십간이 기준이다. 때문에 지지를 십간으로 해석해야만 비로소 쓸 수 있는 것이다. 그 해석의 결과가 지장간이다. 지장간은 필연적으로 불합리한 모양새를 띨 수 밖에 없다. 12개를 10개로 해석하니 문제점이 나올 수 밖에 없다. 십신의 구조는 양음 양음 양음..의 규칙성이 있다. 그런데 이 규칙이 지지에서 깨져버린다.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壬 癸 己 甲 乙 戊 丙 丁 己 庚 辛 戊 양음 - 양음 ----------- 해자 - 임계 인묘 - 갑을 사오 - 병정 신유 - 경신 여기까지는 좋다. 가. 축 - 기 진 - 무 미 - 기..